의정활동/언론보도
-
지방 공기업 67%, 3% 청년채용 안지켜 [연합뉴스]이유미 기자 민주통합당 한정애 의원은 6일 고용노동부의 `2011년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 청년채용 실적 집계 자료'를 인용해 지방공기업 123곳 중 83곳(67.5%), 정부공공기관(공기업, 준정부기관, 30인 이상 기타 공공기관) 269곳 중 143곳(53.2%)이 이 기준을 지키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 의원은 "청년 실업이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지만 공공기관에서조차 청년 고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공공기관, 특히 지방공기업부터 청년실업 해결과 지역인재 발굴을 위한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사 원문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
산림청 비정규직, 정규직의 2배 넘어 [YTN]우리나라 정부 중앙부처 중에서 산림청과 농촌진흥청, 문화재청이 정규직보다 더 많은 수의 비정규직을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비정규직 남용을 규제해야할 고용노동부는 비정규직이 정규직의 절반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한정애 의원은 "민간부문보다도 솔선해 비정규직 남용을 자제해야 하는 중앙부처에서 많게는 2배이상 비정규직을 채용하고 있다는 것은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이 립서비스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 기사 원문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
민간위탁 취업 박람회 채용률 저조 [YTN]고용노동부가 비용을 지원하는 민간위탁 채용박람회에서 실제로 채용이 이뤄지는 비율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작성한 민간위탁 채용박람회 실적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열린 총 11개 취업박람회 가운데 5개는 채용률이 각각 5%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한정애 의원은 "투입된 예산에 비해 실제 채용률은 저조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민간위탁에 의존한 노동부의 취업지원 사업에 대한 재검토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기사원문과 뉴스 동영상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
수백억 민간 고용 서비스 활성화 사업 도덕적 해이 논란[참세상]이명박 정부가 핵심 일자리 창출 사업 중 하나로 2010년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제시한 민간 고용서비스 활성화 사업이 수백억 원의 돈만 쏟아 붓고도 저조한 취업성과가 나온 것으로 드러났다. 심지어 일부 민간 취업 지원업체의 도덕적 해이 논란까지 나왔다. 한정애 민주통합당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이 4일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취업지원 민간위탁사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민간업체에 수백억 원을 쏟아 부어 취업지원 서비스를 했지만, 가사간병인과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사업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취업으로 연결된 성과가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용노동부는 2011년엔 342억원, 2012년엔 362억원을 민간 취업 지원업체에 지원했다. 한정애 의원은 “이명박 정부 들어 고용노동부 취업지원사업의 민간위탁 비중이..
-
구미 불산사건 환경부 대응 한심하다 [아시아 경제]김수진 기자 5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진행된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화두로 떠오른 것은 지난 27일 발생한 구미 불화수소(불산) 누출 사고였다. 여야 의원들 모두 환경부의 대응을 질타하는 목소리를 쏟아냈다. 질의 내내 환경부의 대응이 매끄럽지 못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한정애 민주통합당 의원은 “타들어간 일대 식물 사진을 들고 나와 식물과 동물의 피해가 이 정도인데 지역주민에게 아무 피해가 없을 수가 있냐"고 물었다. 그리고 대피령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한 의원은 "대피령이 내린 이후에도 가동되고 있는 공장이 있었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다"며 "대피령을 내린 뒤 현장 확인이 이뤄져야 하는데 안 됐다"고 말했고 "해마다 유해화학물질 관련사고 60여건이 발생하는데 그 때마다 효과적 대응이 이뤄..
-
고용부 산하기관 여성 관리자 비율 낮아 [연합뉴스]한정애 의원실은 고용노동부에서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고용노동부 산하기관의 여성 관리자 실태를 면밀히 검토 후 그 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연합뉴스는 한정애 의원실이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고용부 산하기관의 여성 관리자 현황에 관해 아래와 같이 보도하였습니다. 아래는 기사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보다 자세한 기사는 하단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김동규 기자 한정애 "고용부 산하기관 여성 관리자 비율 낮아" 대다수 고용노동부 산하기관의 여성 관리자 비율이 현저히 낮다는 지적이 나왔다. 자료에 따르면 한국 산업 인력 공단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여성 관리자 비율은 각 2.79%, 2.53%에 불과했고, 한국기술교육대학 3.13%, 한국 폴리텍 대학 3.64%, 한국고용정보원 4.76%이었다..
-
전용 주거지 84% 심야소음 기준치 초과 [연합뉴스]전국 44개 도시 전용 주거지역의 소음도를 측정한 결과 낮에는 4곳 가운데 3곳이, 밤에는 6곳 가운데 5곳이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시끄러운 도시는 화성, 조용한 곳은 목포였다. 2일 환경부가 민주통합당 한정애 의원에게 제출한 '2011년도 환경소음측정망 운영결과'를 보면 일반 전용주거지역(학교ㆍ병원ㆍ전용주거ㆍ녹지지역)의 낮 시간 평균 소음도는 53㏈, 밤은 47㏈로 기준치인 50㏈ㆍ40㏈을 각각 넘었다. 기준치를 밑돈 지역은 낮에는 전체의 23%인 10곳, 밤에는 16%인 7곳에 불과했다. 화성은 낮 평균 62㏈, 밤 59㏈로 밤낮 구분 없이 전국에서 가장 시끄러운 도시로 나타났다. 반면 목포는 낮 46㏈, 밤 36㏈로 전국에서 소음도가 가장 낮았다. 한정애 의원은 "수도권이 다른..
-
아파트 환기시설이 오히려 곰팡이 유발 우려 [KBS 9시뉴스 인터뷰]풍성하고 행복한 한가위명절 되셨나요? 추석 전날이었던 지난 29일, KBS 9시 뉴스에 한정애 의원 인터뷰가 나갔습니다. 아파트 환기시설과 관련한 내용이었는데요. 환기를 위해 설치해 놓은 것이 오히려 곰팡이균 유입구가 되고 있다는 고발성 기사였습니다. 앵커) 여러분이 살고계시는 아파트의 공기 질은 어떠십니까? 공기 순환을 위해 설치한 일부 아파트의 환기 시설이 오히려 곰팡이의 서식을 유발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병용 기자입니다. 최근 지어진 서울의 한 아파트. 거실과 방마다 설치된 환기시설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아파트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승민(아파트 주민) : "여러가지 부유물들이 있어서,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환기시설 입구마다 시커먼 먼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