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토론회] 노후소득 강화를 위한 퇴직연금제도 개선방안 정책 토론회이번 토론회는 퇴직연금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점검하고, 노후소득 보장을 위한 실효적인 수익률 제고 방안과 기금형 제도 도입 등을 심층적으로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퇴직연금이 이름에 걸맞은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법·제도 개선 과제를 함께 모색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노후소득 강화를 위한 퇴직연금제도 개선방안」 국회 토론회📍 일시: 2025년 4월 23일(수) 오후 2시📍 장소: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 주최: 민주당 월급방위대(위원장 한정애 의원), 경제는민주당(대표 김태년 의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함께하는시민행동, 민주연구원
-
제21대 대통령 재외선거 신청 안내🗓 재외선거 신고·신청 기간2025년 4월 24일(목)까지🗳 재외선거 투표 기간2025년 5월 20일(화) ~ 5월 25일(일)✔ 신청 방법QR코드 스캔 또는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재외선거 홈페이지 접속👉 ova.nec.go.kr해외에 계신 유권자 여러분, 미리 신고·신청하셔야 투표가 가능합니다. 소중한 한 표, 절대 놓치지 마세요!
-
야5당 공동 비상시국 대응을 위한 범국민대회존경하는 당원동지 여러분, 대한민국의 정상화와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당원동지 여러분의 소중한 힘을 모아주십시오. 고맙습니다. ○ 일시 : 2025년 3월 22일(토) 16:00○ 장소 : 광화문 동십자각 앞
-
[국회기후변화포럼]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이행점검과 활성화 지원 방안한정애 국회의원이 공동대표로 있는 국회기후변화포럼에서 다음주 수요일(3/26)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이행점검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국제사회는 2016년 파리기후협약을 계기로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소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 목표를 세우고, 그 과정에서 탄소 저감 기술을 가진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서 관련 사업을 펼치고 그 실적을 나눠갖는 국제감축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한국 역시 2030년까지 탄소 감축 목표치 2억9100만톤 중 약 12%인 3360만톤은 국제감축을 통해 달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에 포럼은 현재까지 이행된 온실가스 국제감축 사업의 주요 경과를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논의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일시 : 2025..
-
[국회물포럼] 먹는물 관리의 역사·현황 그리고 미래 발전 방향이번 「먹는물 관리의 역사·현황 그리고 미래 발전 방향」 토론회에서는 먹는물관리법 제정 30주년을 맞아, 그동안의 성과와 과제를 점검하고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먹는물 관리 방안을 논의하고자 합니다. 특히, 미량오염물질 관리방안, 도전과제, 법제 개선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문가들과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위한 이번 토론회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일시 : 2025년 3월 17일(월), 14:00~16:45○ 장소 :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 주최 : 국회물포럼(회장 한정애 국회의원), 국회입법조사처
-
야5당 공동 윤석열 파면 촉구 범국민대회!야5당 공동 내란종식·민주헌정수호를 위한 윤석열 파면 촉구 범국민대회! 강서병 당원 동지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 부탁드립니다. 꼭 함께 해주십시오! 고맙습니다.
-
[국회 시사회] 글로벌 해양조약 비준 촉구 – 다큐멘터리 SEAGNAL오는 4일(화) 18:00~20:00, 국회의원회관에서 해양 보호를 위한 뜻깊은 시사회가 열립니다. 기후위기와 환경오염으로 해양 생태계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글로벌 해양조약’ 비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해양은 우리의 생명줄이자 미래 세대를 위한 소중한 자산입니다. 지금, 바다를 지키기 위한 행동이 필요합니다. 시사회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일시 : 2025년 1월 23일(목), 14:00○ 장소 :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 주최 : (사)국회물포럼
-
[삼일절] 제106주년 삼일절, 대한민국의 독립을 기억하며오늘은 제106주년 삼일절입니다. 1919년 3월 1일, 대한민국 독립을 향한 뜨거운 외침이 전국으로 퍼져나갔습니다. 수많은 선열들이 목숨을 걸고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고, 그 희생과 헌신이 오늘날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이루는 초석이 되었습니다.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뜻을 기억하며, 오늘만큼은 태극기를 가슴에 새기고 대한민국의 역사와 미래를 함께 생각하는 날이 되었으면 합니다. 독립을 위해 희생하신 모든 분들께 깊이 감사드리며, 대한민국의 더 나은 내일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