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애
-
추적 60분 '불산 8톤 누출, 구미는 안전한가'17일 ‘추적 60분’에서 지난 9월 27일 경북 구미에서 발생한 휴브 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다룬 ‘불산 8톤 누출, 구미는 안전한가’가 방송되었습니다.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는 5명의 사망자와 치료인원 4,200명 그리고 진료를 받고 있는 사람들이 15,000여 명에 달할 정도로 큰 피해를 남기고 있습니다. 추적 60분에 인터뷰한 한정애 의원은 “2009년에 구미 불산 가스 사태와 비슷한 형태의 사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관계 당국은 충분한 예방조치와 후속조치를 제대로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추적 60분 동영상 원본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노동조합 창립 12주년 기념식17일 수요일 한정애 의원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노동조합의 창립 12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였습니다. 국정감사 기간에도 불구하고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노동조합 창립 기념식을 축하하기 위해 많은 내ㆍ외빈 들이 함께 해 주셨습니다. 3대 노조위원장 출신인 한정애 의원은 조합원들과 함께 대한민국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한 삶을 위하고, 공단과 노동조합의 협력적인 노사발전을 위해 노력하자고 다짐했습니다. 한정애 의원은 “노동조합 창립 12주년을 진심으로 축하한다”며 “국회의원 임기동안 더욱 열심히 하여 노동조합 활동이 보다 더 활발해지고 힘을 키워갈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삼성전자, 백혈병 행정소송에 자발적 개입 - 보도자료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한정애 의원(민주통합당, 비례대표)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삼성전자 백혈병 소송 현황」을 확인한 결과, 삼성전자가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고지 받지 못한 3차례 행정소송에 적극 개입한 사실이 드러났다.
-
2012년도 국정감사(낙동강유역환경청, 대구지방환경청) 한정애 의원 질의 - 동영상10월 16일 실시된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낙동강유역환경청, 대구지방환경청) 한정애 의원 질의 동영상입니다.
-
의료폐기물 관리 종합병원도 믿을 수 없다 - 보도자료최근 종합병원과 노인요양시설 등 의료기관이 급증하는 가운데 이곳에서 배출 되는 의료 폐기물 처리 및 관리가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한정애의원(민주통합당, 비례대표)이 국정감사를 대비하여 낙동강유역환경청과 대구지방환경청에서 제출받은 “종합병원 배출·처리에 대한 의료폐기물 조사”를 분석한 결과 의료폐기물 관리가 엉망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최초 공개, 환경부 구미 불산 노출사고 최종 화학사고 상황보고 - 보도자료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한정애 의원(민주통합당, 비례대표)이 구미 불산 노출사고의 환경부 ‘최종 화학사고 상황보고’를 분석한 결과, 여러 문제점이 드러났다. 16일 대구지방환경청 국정감사에서 한정애 의원(민주통합당, 비례대표)은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구미 불산 유출 ‘최종 화학사고 상황보고’를 분석하여 정부의 부실대응을 지적하였다.
-
160만명에 급수하는 대구시 강정취수장 오탁방지막 없어 - 보도자료낙동강유역청과 대구지방환경청의 상수원보호구역 관리상태 평가결과 총 113개 구역 중 72개 상수원보호구역에 오탁방지막 장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한정애 의원(민주통합당, 비례대표)이 낙동강유역환경청(이하 낙동강청)과 대구지방환경청(이하 대구청) 상수원관리실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수원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시설·장비인 오탁방지막이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2012년 10월 16일 환경부(낙동강유역환경청, 대구지방환경청) 국정감사10월 16일 오전 10시 부산지방고용노동청에서 낙동강유역환경청, 대구지방환경청 대상으로 하는 국정감사가 열렸습니다. 한정애의원은 구미 불산 누출사고 관련하여 ‘관계기관의 보고서가 상이한 것, ‘구미 불산 노출사고는 수질오염이 아닌 대기오염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방지대책은 수질오염에 기준을 두고 있는 것’,‘현장 책임자인 대구환경청과 구미시청이 사전회의도 없이 현장 종료된 상황’ 등을 지적하였습니다. 한의원은 “불산 노출 후 초동대처가 2시간이 지난 이후에 실시되어 1.5 킬로만 대피를 시켰는데 이미 10 킬로 이상 피해가 확산되어 있는 상태였고, 이러한 늦장 초동대처로 인해 주민대피가 늦어져 인근 주민들의 피해가 커졌다” 고 언급하였습니다. 또한 위기대응 매뉴얼을 보면 방재청장에게 소석회를 공유해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