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애의원
-
공공노동자 총력투쟁 결의대회한정애 의원은 5일 15시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개최되는 ‘공공노동자 총력투쟁 결의대회’에 함께 했습니다. 이번 결의대회는 한국노총· 민주노총 공공부문노조 공대위, 공공부문 조합원 3,000명이 참가했습니다. 이날 모인 양대노총의 조합원들은 '2014년도 예산지침과 경영평가 요구안 쟁취'와 '공공부문 대정부 교섭 쟁취', '지방이전 노정협의 약속이행 촉구'와 '사회공공성 강화' 등을 요구했습니다.
-
[국회의원 한정애] 2013년 국정감사 의정보고
-
[보도자료]4대강 1157명에 훈포장_공사현장 사망노동자 6명 산재처리조차 못받아국고 22조원 낭비 책임 물어야할 대상자들에게 훈·포장 수여, 4대강 공사현장 사망노동자 22명 중 산재처리 16명, 나머지 6명에게 국가는 아무런 책임도지지 않았다. 대국민 사기극 4대강 사업, 4차례 걸친 1,157명에게 수여한 잘못된 빛과 그림자. 이와 관련된 보도자료를 첨부합니다.
-
낙동강 합천,창녕보'어도'유명무실 논란[내일신문]한정애의원은 환경부 낙동강유역환경청과 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의 비공개 문건을 공개했습니다. 이와 관련된 기사가 10월 15일 내일신문에 게재되어 소개해드립니다. [내일신문] 4대강 사업으로 설치된 낙동강 합천,창녕보의 어도가 완공 뒤 제구실을 하지 못했던 사실이 드러났다. 물고기가 자유롭게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어도가 오히려 물고기가 다니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돌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다. [중략] 한 의원은 또 “낙동강 합천, 창녕보 뿐만 아니라 전체 4대강 보의 어도를 점검, 조속히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 고 말했다. *내일신문
-
MB정부, 4대강 공사 피해보상 사실 숨겨[서울신물]한정애의원은 4대강 사업의 공사로 농민과 건물주에게 피해배상 결정을 내린 것이 2011년 상반기에만 5건이었다. 2012년 10월 국가를 상대로 한 경북상주 낙단보 소음으로 정신적 피해 분쟁조정신청까지 포함해 6건에 대해 총 3억 400만원의 피해보상 결정이 내려졌다. [서울신문] 유진상 기자=4대강 살리기 사업 공사로 인해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시공사의 배상결정이 잇따라 내려졌던 것으로 확인됐다. [중략] “이명박 정부를 알고 있었지만 4대강 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기 위해 피해사실과 피해배상 결정을 의도적으로 발표하지 않은 것“이라 지적했다. *서울신문
-
2013년 환경부 및 기상청 종합감사11월 1일(금) 환경부·기상청 마지막 국정감사인 종합감사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회의실에서 진행되었습니다. 한정애 의원은 첫 질의에서 4대강 감사원 감사 결과를 제시하며 4대강 사업이 한반도 대운하를 염두에 둔 사업임을 지적하였습니다. 한 의원은“2009년 10월 21일 국토부 내부 문건 중 지방 국토청 회의내용을 보면 ‘보 는 장래 갑문설치를 감안하여 설계 하라’는 지시가 있었다”며“이는 어도가 물고기를 위한 것이 아닌 갑문을 대비하여 설치한 것”이라고 지적하였습니다. 한 의원은 “4대강사업으로 수질개선 비용 등 국가의 불필요한 예산이 많이 투입되었다”며,“환경부는 4대강으로 인해 사업완료 후 추가적으로 발생된 비용을 확인해 환경노동위원회에 제출하라”고 지시하였습니다. 두 번째 질의에서 한정애 의원은 ..
-
제320회 국회(정기회) 제08차 환경노동위원회 한정애 위원(민주당)발언[2013-10-22] 제320회 국회(정기회) 제8차 환경노동위원회 한정애 위원(민주당) 발언
-
[보도자료]수도권 대기환경개선사업 절반이상 목표 달성률 50%미만0 환경부의 수도권대기환경개선사업 절반이상 목표 달성률 50% 미만으로 49개 사업 중 25개 사업 달성률 50%미만, 미시행사업이 무려 6개로 밝혀졌다. 이와 관련된 내용의 보도자료를 첨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