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국회의원회관 제1간담회의실에서 「K바이오 기술수출, 과연 최상의 선택인가」 정책토론회를 공동주최했습니다.
![]() |
![]() |
바이오 산업은 반도체를 넘어서는 또 다른 미래 먹거리 중 하나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전 세계가 바이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에 불을 붙이고 있으며, 한국도 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
![]() |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제약 분야에 대한 투자가 부족합니다. 글로벌 임상 3상을 하려면 1~3조 원이 필요하고, 국내용 치료제 개발에도 수백억원이 들지만, 우리나라 R&D 과제 연구비는 평균 7.5억 원에 불과한 수준입니다.
제약 바이오 기술은 축적이 되는 만큼 신약 개발에 실패하더라도 그것을 확보하기 위해 쌓았던 기술 자체가 또 다른 길을 열어가는 열쇠가 되지만, 자본이 부족한 바이오벤처들은 신약 물질 상용화 대신 기술수출을 선택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글로벌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술수출보다 신약개발에 투자할 수 있는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합니다.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초기 투자, 바이오펀드 리스크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세제 지원 강화 등 기업들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세계적으로 제약바이오의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는 만큼, 다가오는 바이오 경제 시대를 대비할 수 있도록 입법적·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한정애 국회의원]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개선 방안 토론회 - 치과기공 관련 제도 개선을 중심으로 (1) | 2023.09.06 |
---|---|
[한정애 국회의원] 제2차 윤석열 정권 폭정저지 민주주의 회복 촛불문화제 (0) | 2023.09.04 |
[한정애 국회의원]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해양투기 철회 촉구 촛불집회 (0) | 2023.08.23 |
[한정애 국회의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제2법안심사소위원회 (0) | 2023.08.23 |
[한정애 국회의원] 민주주의 4.0 공부모임 – 정치지도자를 위한 고전 읽기 (0) | 2023.08.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