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애의원
-
[서울경제] 한정애 "ILO 비준해도 공무원·교원에는 파업권 안 주어져"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한정애 의원이 16일 ILO 기본 협약을 비준한다고 공무원·교원에게 파업권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라며 4월 국회에서 반드시 노동관계법 개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ILO 핵심 협약이 비준되면 공무원과 교사의 파업이 가능해지고, 해직자가 노조 간부로 활동하며 ‘정치 파업’이 일상화될 수 있다는 김학용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의 발언을 정면 반박한 것이다. 한 의원은 이날 오후 입장문을 통해 ILO 기본협약 비준을 위한 공익위원 최종권고안에 대해 “국회 내 입법 과정 등을 감안할 때 공익위원들이 최종 권고안을 제시한 것은 불가피한 조치이자 노사 두를를 감안한 합리적 내용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환노위원장께서 ILO 핵심협약이 비준되면 공무원과 교사의 파업이 가능..
-
[강서병 한정애] 따뜻했던 주말, 어떻게 보내셨나요? ^^봄바람 휘날리며~ 흩날리는 벚꽃 잎이~ ♬ 콧노래가 절로 나오는 주말! 한정애 의원은 어떻게 보냈는지 궁금하시죠? 함께 파헤쳐보시죠 :) 첫 번째 일정 힌트! 어떤 행사인지 짐작 가시나요? 천사같은 어린 친구들이 주인공인 이 행사는 강서구협회장배 줄넘기 대회였습니다~ 알록달록 티를 맞춰 입은 모습이 너무 귀엽죠? >_ 두 번째 일정 힌트! 사진을 자세히 보시면 맞추실 수 있을 거에요(현판을 주목하시길!) 눈치 채셨나요? ^^ 이어서 방문한 곳은 강서구청장기 배드민턴대회장입니다~ 장상기 시의원님과 황영호 구의원님도 응원하러 와주셨구요~ 다같이 파이팅 포즈도 취해봅니다 ^^ 오늘의 주인공! 체육관을 가득 채운 우리 선수들 찰칵~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경기 기대해봅니다 :) 강서구 생활체육 발전을 위해 항상 ..
-
[보도자료] ILO 기본 협약을 비준한다고 공무원, 교원에게 파업권이 주어지는 것은 아닙니다오늘 자유한국당 소속 김학용 환노위 위원장께서는 “ILO 핵심협약이 비준되면 공무원과 교사의 파업이 가능해지고, 해직자가 노조 간부로 활동하면서 임금 협상 등 ‘정치 파업’이 일상화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지만 이는 사실을 오해한 지나친 억측입니다.
-
[강서까치뉴스] 제631호 소식강서까치뉴스 제631호 소식을 전달합니다 :)개화산 봄꽃 축제와 장애인의 날 기념 주간행사 일정, 마을버스 노선 조정 등 상세 내용이 담겨있답니다~
-
[국회기후변화포럼] 2019 기후변화장학생 모집국회기후변화포럼에서 ‘2019 기후변화장학생’을 모집합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크고 학업의지가 높은 대학생들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관심있는 학생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
[그린포스트코리아] 환경문제에 발 벗고 나선 9명 의원은 누구?[그린포스트코리아 박소희 기자] 환경운동연합이 2018년 국회 의정활동 평가를 통해 9명의 '우수환경 의원'을 선정했다. 3년 연속 우수의원 명단에 이름을 올린 이상돈, 이정미 의원은 국토생태 분야와 물순환 분야까지 2관왕을 거머줬다. 분야별로는 에너지기후 분야에서 5명의 의원이 우수환경 의원으로 선정됐다.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산업통산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성환·이훈·우원식 의원,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현권 의원, 국토교통위원회 이원욱 의원이 이름을 올렸다. 원전 축소와 친환경적인 에너지 전환을 위해 다양한 관심과 입법·정책 활동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물순환 분야에서는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상돈 바른미래당 의원, 이정미 정의당 의원, 한정애·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선정됐다. 이상..
-
[보도자료] 한정애 의원,‘국회 우수 환경의원상’수상!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서울 강서병,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은 10일(수) 환경분야 대표 시민단체인 환경운동연합으로부터 ‘국회 우수 환경의원상’을 수상했다.
-
[정책위 수석부의장] 제138차 원내대책회의 모두발언□ 일시 : 2019년 4월 9일(화) 오전 9시 30분 □ 장소 : 국회 본청 원내대표회의실 ■ 한정애 정책위수석부의장 정부가 어제 5G 기반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전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5G를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 서비스를 창출하고, 세계 최초에 이어서 세계 최고 수준의 5G 생태계를 구축해 글로벌 혁신의 허브로 발돋움하겠다는 것이 주요한 내용이다. 정부가 밝힌 5가지 추진 전략과 52개의 세부 과제가 차질 없이 이행될 경우에는, 오는 2026년까지 일자리 약 60만 개와 생산액 180조 원, 그리고 수출은 730억 불에 달하는 경제적 효과가 예상된다. 그야말로 우리 경제의 구조와 틀을 신산업과 신기술 중심으로 전환시키는 청사진이 제시된 것이다. 정부의 이 같은 비전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혁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