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뉴스핌][단독] "마약범죄에 연루"...미국, 캐나다 재외국민 보이스피싱 피해 급증

의정활동/언론보도

by pauline817 2025. 10. 13. 16:30

본문

재외국민 피해 94건서 254건으로 증가
마약 사건 연루됐다고 속이거나 대사관 직원 사칭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피해가 미국, 캐나다 등 미주 지역에서 특히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부는 지난해 2월 1일부터 영사민원시스템 사건사고 범죄 유형에 보이스피싱을 추가해 통계를 집계 중이다.

 

13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외교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해외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는 지난해 94건에서 올해 상반기 254건으로 3배 가까이 피해 건수가 늘었다.

 

 

이 가운데 미주 지역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7건에서 올해 상반기 145건으로 드러난 것. 미국은 지난해 8건에서 올해 상반기 63건, 캐나다는 5건에서 올해 상반기 79건으로 집계됐다.

 

아시아에선 일본 재외국민 대상 범죄가 지난해 2건에서 올해 상반기 20건으로 급격히 늘어났다.

 

주요 범죄 사례를 보면 대사관 직원을 사칭하거나 마약 범죄에 연루됐다고 속이는 식이 많았다.

 

일례로 지난 2월 12일 주미국대사관 직원을 사칭한 사람이 전화해 피해자가 마약 범죄에 연루됐다고 하면서 대검찰청 및 금융감독원을 접촉하도록 안내했으며, 이에 피해자는 가해자가 보낸 링크에 접속, 개인 정보를 공유하도록 유도했다.

 

올해 7월 28일에는 호주에 체류 중인 한국 국민에 주호주대사관 전화번호로 표시된 전화를 걸어 마약 사건에 연루됐으니 특정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라고 꾀어냈다.

 

윤창렬 국무조정실장도 최근 해외 동포들을 상대로 한 보이스피싱 범죄의 심각성을 지적한 바 있다. 그는 지난달 25일 민주당 보이스피싱 태스크포스(TF) 당정협의에서 "해외에서도 저희 교포분들이 유사한 보이스피싱을 많이 당한다고 한다. 외교부 통해서 해외 동포분들도 피해를 입지 않도록 촘촘히 신경쓰면서 준비하겠다"고 했다.

 

최근 당정은 보이스피싱 대책 마련을 위해 최근 범정부 통합대응단을 설치하고 전담 수사 체계를 강화했다.

 

한정애 의원은 "재외국민 보이스피싱 피해가 급증하고 있어 외교부 및 관계부처의 특단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사 원문 보기

[단독] "마약범죄에 연루"...미국, 캐나다 재외국민 보이스피싱 피해 급증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