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단독] 3년간 재외국민 피해 3배 증가…재외공관 인력은 10년째 제자리
재외국민 범죄 피해가 3년 사이 3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여행이 늘고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관련 재외국민 사건·사고도 빠르게 늘고 있다. 반면 외교부 재외공관 정원은 10년째 제자리걸음하고 있어 대응에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6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6498건이었던 재외국민의 범죄 피해는 3년 뒤인 2024년 1만7283건으로 약 2.7배 증가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만 9555건으로 이 추세대로면 4년 전에 비해 3배를 넘어선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올해 상반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만 4432건의 피해가 발생했고 이중 가장 많은 여행객이 찾고 있는 일본에서 1341건에 이어 △베트남 925건 △중국 818건 △태국 580건 △필리핀 424건 △캄보디아 303건 순이었다.
아울러 우리 외교부는 캄보디아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우리 국민 대상 취업사기·감금 피해 등을 예방하기 위해 캄보디아 외교부와 16년 만에 영사협의회를 열고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이와 함께 외교부는 지난달 우리 국민 취업사기·감금 피해 예방 및 대응 강화를 위해 프놈펜, 시하누크빌, 캄폿주 보코산 지역 등 주요 피해 지역에 여행경보를 격상했다.
한편 재외국민의 수가 늘어난 만큼 범죄 가해 건수도 증가하는 추세다. 같은 기간 2021년에는 2326건이었던 가해 건은 2024년 3255건, 올 상반기는 1842건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최근 우리 국민의 해외 출국 빈도가 증가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법무부 출입국 통계에 따르면 2021년 출국자는 약 123만 명에 불과했다. 코로나19(COVID-19) 팬데믹으로 출입국이 크게 제한됐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이 해소된 2022년에는 약 658만 명이 해외로 출국해 전년 대비 5배 이상 증가했다. 2023년에는 출국자가 급증해 2275만명에 달해 전년 대비 3배, 2년 전과 비교해 20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어 지난해 출국자는 약 2870만명으로 기록됐다. 코로나19 이후 국민의 해외여행 수요 증가와 함께 우리 기업의 적극적인 해외 진출이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문제는 이처럼 급증한 외교 수요에 대해 외교부와 재외공관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외교부 정원은 1992년 2121명이었으나 30년이 지난 2022년에는 2884명으로 763명 증가했다. 올해 2월 기준 정원은 3년 전과 유사한 2883명으로 확인됐다. 특히 재외공관 공무원 정원은 2016년 1268명에서 현재까지 1490명으로 222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우리 국민의 해외 진출에 비해 외교 인력 지원이 부족한 것은 타국과의 인력 규모 비교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지난해 기준 미국의 외교 인력은 2만7230명으로 한국 인력의 10배 수준이다. 주요국을 살펴보면 △일본 6674명 △프랑스 1만3818명 △독일 6179명 △캐나다 8300명 △영국 8176명 △호주 4835명 등으로 파악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 의원실의 관련 질의에 "조직 확대 및 인력 증원을 위한 노력을 경주했다"면서도 "관계부처 협의 과정에서 별도의 증원이 없이 기존 조직을 재정비하고 필요한 분야에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개편이 이뤄졌다"고 답했다.
게다가 외교관에 대한 선호도까지 떨어지고 있어 증원과 함께 외교 인력에 대한 처우개선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공무원의 인기 하락과 함께 7급 외무영사직 경쟁률도 3년 새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2022년 120.9대 1이었던 경쟁률은 올해는 66.2대 1로 기록됐다. 국가직 5급인 외교관 후보자도 2022년 42.8대 1에서 올해 36.2대 1로 하락하는 추세다.
한정애 의원은 "재외국민 사건·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영사 조력 등 관련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외교 인력 숫자는 수년째 제자리"라며 "주요국과 비교해도 턱없이 부족한 외교 인력 증원은 물론 처우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사 원문 보기